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|
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 |
 |
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 |
만 19세 이하 산모로 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 |
 |
사회서비스사업 13종 |
노인, 장애인, 출산가정 등 사업별 상이 |
 |
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 |
중위소득 40%(최저생계비 100%) 이하 저소득층 영아(0~24개월) 가구 |
 |
에너지바우처 지원 |
"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"급여 수급자로서
노인, 영유아, 장애인,
임산부, 중증/희귀/중증난치질환자, 한부모가족, 소년소녀가정
(가정위탁보호아동) 포함 세대 중
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세대 |
 |
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|
중위소득 120%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(취업한부모, 맞벌이가정, 다자녀 가정 등) |
 |
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|
생계· 의료· 주거· 교육 급여 수급자, 차상위계층,
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9세~24세 여성청소년 |
 |
보육료 지원 |
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~5세 |
 |
유아학비 지원 |
국·공 ·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~5세 |
 |
첫만남이용권 지원 |
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 |
 |
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|
우울,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으로 심리상담이 필요한 자 |
 |
일상돌봄 서비스 |
일상생활에 돌봄이 필요한 청・중장년(19~64세) 또는 가족돌봄청년(9~39세) |
 |
긴급돌봄 지원 |
주 돌봄자의 갑작스러운 부재, 질병, 부상 등으로 긴급하고 일시적 돌봄 지원이 필요하나 기존 서비스로 돌봄을 받기 어려운 국민 |
 |
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|
최중증통합돌봄서비스 대상자 선정기준 점수가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자 |
 |